-
British lighting standards (영국 조명 관련 기술표준)ACADEMIC THOUGHTS 2015. 2. 3. 23:17
조명 연구의 기술표준 또는 가이드 (lighting standards) 는 왜 필요할까?
또한 기술표준 설립과 실행에 연관된 기관들은 어디이며, 각 규격과 가이드들은 어느정도의 법적인 강제성을 가지고 있을까?
먼저 조명 관련 기술표준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면,
1) 관련 용어, 기술들을 정의 (definition)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정의된 용어들은 ILV (International Lighting Vocabulary) 에 기록되고 CIE는 주기적으로 새로운 용어와 기술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버젼을 내놓는다.
2) 빛을 물리적으로 측정 (measure) 할 수 있어야 한다.
3) 측정된 빛 환경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척도, 지표 (objective criteria) 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어떤 빛 환경이 좋은 빛 환경인가? 많은 정의들이 있지만, 영국 조명학회 (Society of Light and Lighting; SLL) 에서는 Peter Boyce 가 제시한 간단한 분류표를 자주 인용하고 있다.
표 1 Simple classification of lighting quality위의 분류표는 빛 환경 퀄리티를 '나쁨', '평균' 그리고 '좋음'으로 간단하게 구분하고 있다. 위 분류 기준에 따라 조명 기술표준의 큰 목적은 '가장 좋은' 빛 환경을 만들기보다 '나쁨' 또는 '평균' 이하의 빛 환경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럼 위와 같은 조명표준 기준은 어떤 기관과 절차를 걸쳐 제안 되는 것일까? 영국의 케이스를 예로 관련 기관과 제안된 조명표준 가이드들의 법적 강제성을 알기 위해 간단한 그림 도식표를 만들었다. 그림 1은 조명 기술표준 제정에 관련된 기관 또는 단체의 관계를 그림 2는 제정된 기술표준 및 가이드들의 법적 강제성을 각각 설명한다.
그림 1. Lighting standards bodies in the UK.
그림 1은 영국의 조명기술표준 제정에 관련된 6개의 기관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2. Lighting standards and the law (in the UK).
Lighting standards 는 regulation,law 부터 code, guidance 까지 다양한 분류로 나뉘어지고, 각각의 법적 강제성은 그림2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결론
1. 영국 조명 기술표준(lighting standards)은 CIE 를 포함한 6개의 기관 단체에 의해 결정된다.
2. 영국 조명 기술표준은 regulation부터 code, guidance 까지 여러 종류로 나뉘며, 각각 다른 법적강제성을가진다.
3. 이렇게 정의된 기술표준은 비전문가에게 쉽게 지식을 전달하고, 나쁘거나 평균 미만의 (bad or mediocre) 빛 환경을 방지하며, 향후 빛 연구의 시작이 되는 framework를 제공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ACADEMIC THOUG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박사논문 그리고 바이바 (0) 2018.04.05 빛 공해와 상향광 그리고 BUG의 함정 (1) 2016.04.13 Kruithof Curve Revisited: part I (0) 2015.12.17 Daylight and daylight evaluation (1): a critique of DF as a metric (0) 2015.02.04